WEBIS MOBILE PAGE (~767)
WEBIS TABLET PAGE (768~991)
WEBIS DESKTOP PAGE (992~1279)
WEBIS BIG DESKTOP PAGE (1280~)

광주시립장애인종합복지관 노동조합 파업 67일째, 천막농성 40일째.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 HOME
  • 복지관 이야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 HOME
  • 복지관 이야기
  • 자유게시판

광주시립장애인종합복지관 노동조합 파업 67일째, 천막농성 40일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광주장복노조 댓글 0건 조회 6,338회 작성일 03-10-06 08:32

본문

광주시립장애인종합복지관 노동조합 파업 67일째, 천막농성 40일째. -박광태 광주광역시장은 폭력만행 사죄하고 책임자처벌 시행하라- 지난 10월 2일 시청 앞에서 이른 아침부터 노동조합 동지들이 시위에 들어갔다. 시위를 통해 10월 1일 시장면담을 요구한 노조원 8명이 공권력 투입 등으로 인해 시청에서 크고 작은 부상을 입은 사건에 대한 책임을 묻고 책임자처벌과 박광태 시장의 공개사과를 요구했다. 그리고 현재 수탁기관의 위탁포기로으로 인해 전 직원이 10월 31일자로 해고통지서를 받았다. 이에 노동조합은 장애인복지관의 특수성과 전문성을 고려한다면 반드시 새로운 수탁자에게 직원의 고용승계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지도감독 권한 및 위탁선정의 책임자인 광주시가 그것을 보장해 줄 것을 요구했다. 더 나아가 책임회피의 도구로 사용되는 민간위탁제도는 폐지되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또한 2달이 넘게 계속해서 장애인복지관을 파행 속에 방치시키고 있는 광주시의 책임을 묻고 하루 속히 복지관 사태를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광주광역시장은 분명 광주시립장애인종합복지관에 대한 지도감독 권한이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자신들이 3자라는 책임회피성 주장을 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복지관은 수백명의 이용장애인이 피해를 보고 있다. 이에 대해 현재 수탁을 하고 있는 재활협회는 위수탁을 포기했다며 복지관을 파행 속에 방치시키고 있으며 광주시 또한 제 3자라며 민원에 대해 해결은커녕 다른 곳에 민원을 제기하라며 민원을 회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노동조합은 정당한 주장을 하고 있다. 온갖 비리로 얼룩진 복지관의 민주화와 투명성을 찾자는 것을 단체협약에 요구하고 있다. 구체적인 한 예로 복지관의 예산과 결산 그리고 자부담(이용자의 이용료)에 대해서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복지관장 이하 사측과 광주시는 절대로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비추고 있다. 광주시립장애인종합복지관은 보건복지부와 광주시 예산과 그리고 이용장애인의 이용료로 운영되는 곳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예결산 및 자부담이 철저하게 은폐되어 이용되어왔던 것이 아직까지 운영실태였다. 오직 광주시 담당공무원과 관장 이하 소수 사측만 알 뿐이었다. 최근 전 재활협회장과 현 복지관장의 수차례에 의해 4000만원이 넘는 돈에 대한 횡령도 이러한 은폐로 인해 빚어진 사건이었다. 복지관의 비리 속에 노동자가 탄압을 받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제 이러한 잘못된 구조는 하루 속히 개선해야하며 진정 장애인을 위한 복지관으로 거듭나야 한다. 계속해서 광주시는 책임회피를 하고 있다. 또한 정당한 주장을 하고 있는 우리 노동조합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것 뿐만아니라 철저히 노동탄압을 자행하고 있다. 최근의 시장면담을 요구한 노조원들에게 공권력 투입 등 폭력으로 대응한 작태는 분명 그 사실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박광태 광주시장은 장애인복지관 노조원들에게 폭력을 행사해서 부상을 입힌 죄에 대해 광주시민과 노동자 그리고 장애인 앞에 사과해야 한다. 그리고 당시 청원경찰 및 공권력 투입을 지시한 책임자 처벌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현재 장애인복지관이 파행 속에 있다. 하루 속히 노조와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위탁이 바뀌더라도 광주광역시장이 앞장서서 현 직원에 대한 고용승계를 보장해야 할 것이다. 광주광역시립장애인종합복지관 노동조합 -박광태 광주광역시장은 폭력만행 사죄하고 책임자처벌 시행하라- 지난 10월 2일 시청 앞에서 이른 아침부터 노동조합 동지들이 시위에 들어갔다. 시위를 통해 10월 1일 시장면담을 요구한 노조원 8명이 공권력 투입 등으로 인해 시청에서 크고 작은 부상을 입은 사건에 대한 책임을 묻고 책임자처벌과 박광태 시장의 공개사과를 요구했다. 그리고 현재 수탁기관의 위탁포기로으로 인해 전 직원이 10월 31일자로 해고통지서를 받았다. 이에 노동조합은 장애인복지관의 특수성과 전문성을 고려한다면 반드시 새로운 수탁자에게 직원의 고용승계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지도감독 권한 및 위탁선정의 책임자인 광주시가 그것을 보장해 줄 것을 요구했다. 더 나아가 책임회피의 도구로 사용되는 민간위탁제도는 폐지되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또한 2달이 넘게 계속해서 장애인복지관을 파행 속에 방치시키고 있는 광주시의 책임을 묻고 하루 속히 복지관 사태를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광주광역시장은 분명 광주시립장애인종합복지관에 대한 지도감독 권한이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자신들이 3자라는 책임회피성 주장을 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복지관은 수백명의 이용장애인이 피해를 보고 있다. 이에 대해 현재 수탁을 하고 있는 재활협회는 위수탁을 포기했다며 복지관을 파행 속에 방치시키고 있으며 광주시 또한 제 3자라며 민원에 대해 해결은커녕 다른 곳에 민원을 제기하라며 민원을 회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노동조합은 정당한 주장을 하고 있다. 온갖 비리로 얼룩진 복지관의 민주화와 투명성을 찾자는 것을 단체협약에 요구하고 있다. 구체적인 한 예로 복지관의 예산과 결산 그리고 자부담(이용자의 이용료)에 대해서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복지관장 이하 사측과 광주시는 절대로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비추고 있다. 광주시립장애인종합복지관은 보건복지부와 광주시 예산과 그리고 이용장애인의 이용료로 운영되는 곳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예결산 및 자부담이 철저하게 은폐되어 이용되어왔던 것이 아직까지 운영실태였다. 오직 광주시 담당공무원과 관장 이하 소수 사측만 알 뿐이었다. 최근 전 재활협회장과 현 복지관장의 수차례에 의해 4000만원이 넘는 돈에 대한 횡령도 이러한 은폐로 인해 빚어진 사건이었다. 복지관의 비리 속에 노동자가 탄압을 받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제 이러한 잘못된 구조는 하루 속히 개선해야하며 진정 장애인을 위한 복지관으로 거듭나야 한다. 계속해서 광주시는 책임회피를 하고 있다. 또한 정당한 주장을 하고 있는 우리 노동조합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것 뿐만아니라 철저히 노동탄압을 자행하고 있다. 최근의 시장면담을 요구한 노조원들에게 공권력 투입 등 폭력으로 대응한 작태는 분명 그 사실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박광태 광주시장은 장애인복지관 노조원들에게 폭력을 행사해서 부상을 입힌 죄에 대해 광주시민과 노동자 그리고 장애인 앞에 사과해야 한다. 그리고 당시 청원경찰 및 공권력 투입을 지시한 책임자 처벌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현재 장애인복지관이 파행 속에 있다. 하루 속히 노조와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위탁이 바뀌더라도 광주광역시장이 앞장서서 현 직원에 대한 고용승계를 보장해야 할 것이다. 광주광역시립장애인종합복지관 노동조합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관련사이트

FLOAT LE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