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의료보험 도입은 안됩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민간의료보험이 본격 도입되면 의료비 부담이 늘어납니다.
개인/가계/기업/정부의 비용부담이 증가합니다.
민간의료보험이 본격 도입되면 불필요하거나 사치성 의료 이용이 급증하게 되어 국가 전체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킵니다.
사랑니 하나를 빼더라도 본인 비용부담이 없는 입원을 선택하게 됩니다.
입원기간이 길면 길수록 급여혜택이 늘어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입원을 증가시켜 도덕적 해이 현상에 의한 의료비 증가를 가져옵니다.
기업측면에서도 단체보험 가입 압박에 시달리게 하며 결국은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증가시켜 경쟁력 약화를 초래합니다.
델파이, GM의 경영압박의 원인은 과다한 의료비 부담이 한 원인으로 지목됨
결국, 의료서비스의 가격인상과 과잉이용을 부추겨 개인과 기업부담은 물론 정부지출을 증가시켜 총체적 국가 경제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개인의 질병자료 유출이 우려됩니다.
현재 민간의료보험회사에서는 개개인의 보험료 산정을 위하여 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하고 있는 질병자료의 이용을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민간보험이 본격 도입되면 건강보험공단의 개인 질병자료를 보호하는데도 한계가 있으며 민간보험회사가 환자의 동의 없이도 질병정보를 이용할 우려가 있습니다.
의료와 건강문제에서도 빈부격차를 심화시킵니다.
민간의료보험이 목적하는 바는 가입자에 대한 의료보장 보다는 보험료 수입을 이용한 수익창출 이므로 저소득 고위험 계층의 가입을 거부하고 고소득 저위험 계층을 선별적으로 가입시킴으로써 사회계층간의 양극화를 심화시킬 우려가 있습니다.
결국,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어려운 저소득·고위험 계층은 의료서비스 이용이 제한됨으로써 의료와 건강문제의 양극화가 심화될 수 있습니다.
민간의료보험에 대한 OECD의 권고안은 이렇습니다.
"지금까지 각국의 민간의료보험은 공공의료비 지출과 국민의료비 지출을 증가시키고 있다."
"민간의료보험이 환자 본인부담 전액을 보장해 주는 것을 법률로 금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보장이 취약계층 또는 본인부담이 큰 사람들의 의료접근성 보호를 위해 필요 하더라도 도덕적 해이에 의한 과다한 의료이용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 이전글○ 건강보험재정 기금화에대한 논의 06.03.12
- 다음글[re] 민간의료보험 도입은 안됩니다. 06.03.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